사이트맵 보기

FAQ

리스트 게시판
[Flash Programming] 플래시 메모리에 값을 쓰거나 지울 때 "FLASH algorithm did not execute completely" 에러가 발생합니다.

타깃을 제어할 수 있는 플래시 프로그래밍 알고리즘은 CPU 자체적으로 수행됩니다.

플래시 알고리즘 실행이 중단되는 경우 "FLASH algorithm did not execute completely" 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이러한 이유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와치독이 활성화로 인해 플래시 알고리즘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TRACE32에서 제공하는 데모 스크립트 중에서 워치독을 비활성화 할 수 있는 명령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명령어를 찾지 못할 경우에는 사용하는 프로세서/보드의 설명서를 참고하시어 와치독을 제어해주시기 바랍니다.


데이터 캐시 또한 이러한 에러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플래시 프로그래밍 스크립트에서 데이터 캐시를 OFF 해주시기 바랍니다.


플래시 알고리즘과 플래시에 구워넣을 파일이 동일한 주소에 배치되었을 수 있습니다.

Data.LOAD.auto /NoCODE 명령어를 사용한 다음 sYmbol.List.MAP 명령어를 사용하여 이미지 파일의 메모리 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Data.LOAD 명령에서 Flash 다운로드를 진행할 메모리 범위를 지정하여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플래시 알고리즘이 로드된 범위를 제외할 수 있습니다.


잘못된 Flash clock이나 버스 구성으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잘못된 플래시 바이너리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C:\T32\pdf\flash_diagnosis.pdf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원이 필요하시면 TRACE32@mdstech.co.kr 로 연락주세요.

감사합니다.

[Flash Programming] Erase FLASH 영역이 깜빡거리거나 Default Erase 값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지워진 상태인 내부 FLASH 영역을 읽으면 무작위로 데이터가 깜빡거리기도 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내부 FLASH가 ECC에 종속되어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FLASH와 FLASH ECC 영역이 지워지면, ECC값인 0xFF와 지워진 FLASH 0xFF 값이 일치하지 않아 bit error correction 결과가 발생합니다.


다른 궁금한 사항은 TRACE32@mdstech.co.kr로 문의 주십시오.

감사합니다.

[Flash Programming] B::Data.LOAD 명령어 실행 후 “xxx bytes dropped” 관련 warning은 왜 발생하나요?


해당 warning B::Data.LOAD 명령어 실행 후 타깃 플래시 프로그래밍이 진행중일 때 발생합니다.

사용자가 등록한 elf 파일 또는 바이너리 이미지가 온전히 플래시 메모리에 작성되지 않았을 때 발생합니다.


B::FLASH.List 또는 sYmbol.List.MAP 윈도우에서 플래시 메모리가 작성되지 않은 부분을 확인할 수 있

NOP protection으로 인해 값이 버려지며 해warning 이 발생합니다.


참고 사항:

l 특수목적 FLASH sector의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플래시 write 동작을 사전 방지하기 위해 NOP sector로 지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l B::FLASH.CHANGETYPE 명령어를 이용하면 Sensitive sector 에 대해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state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l 명령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norflash.pdf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궁금한 사항은 TRACE32@mdstech.co.kr 로 문의 주십시오.

감사합니다


[Flash Programming] FLASH 프로그래밍 시간을 개선하는 방법
  • FLASH.Program / FLASH.AUTO 명령어 대신 FLASH.ReProgram 명령어 그룹 사용하기.
  • 가능하다면 /DualPort 옵션 사용하기. Onchip/NOR FLASH Programming User’s Guide 문서의 "DualPort FLASH Programming" 을 확인하세요.
  • FLASH 프로그래밍 시 모든 TRACE32 memory dump 창 닫기.
  • 가능하다면 JTAG clock 높이기.
  • 가능하다면 tool based method 방식 대신 target controlled FLASH programming method 방식 사용하기.


자세한 내용은 Onchip/NOR FLASH Programming User’s Guide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다른 궁금한 사항은 trace32@mdstech.co.kr로 문의주십시오.

감사합니다.

[Flash Programming] Program/erase 중 FLASH 메모리를 덤프할 때 "bus errors" 오류가 발생합니다.

보통, 프로그램 또는 삭제 중인 FLASH 메모리에 대해 읽기는 허용되지 않거나 예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삭제 중에는 이러한 섹션을 덤프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궁금한 사항은 trace32@mdstech.co.kr로 문의주십시오.

감사합니다.

고객문의/
견적문의
기술지원/
데모/
SW요청
031-627-
3116